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아 피서지 바가지요금이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지난해 휴가철 숙박료 상승률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10배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.
특히 올해는 6개월 연속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%를 넘어서 피서지 바가지요금이 기승을 부릴 경우 가뜩이나 큰 물가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을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.
3일 한국은행과 통계청, 일선 시ㆍ군에 따르면 지난해 7월 평상시 숙박료 상승률은 거의 변동이 없는 편이지만 여름 휴가철인 7~8월이 되면 반짝 급등하는 경향을 띠고 있다고 밝혔다.
특히 전 도시의 숙박료 상승률은 전월 대비 3%에 달했고,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인 0.3%의 10배에 달하는 수치를 보이고 있다.
숙박료 가운데 콘도미니엄 이용료는 전월보다 19.1% 올라 가장 큰 폭의 오름세를 보였고, 호텔은 7.9%, 여관은 1% 상승했다.
특히 호텔과 콘도미니엄은 전국적으로 동일한 요금 상승률을 보인 반면 여관비는 지역별로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.
6대 광역시 중 인천, 광주, 대전, 울산의 여관비는 전월과 같았지만 부산과 대구지역 여관비는 각각 2.4%, 13.4%의 높은 오름세를 보였다.
숙박 비용을 줄이려는 알뜰 피서객이 주로 찾는 찜질방 이용료도 일부 지역에서 비교적 큰 폭의 오름세를 보였다.
특히 경남지역 해수욕장과 유원지 주차요금의 경우 민영 주차장의 이용료가 지난해에 비해 50%가량 오른 것으로 확인돼 민영 주차장의 가격인상을 규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.
이 외에도 승용차임차료는 전 지역에서 4.9% 올랐고, 주차료는 평균 상승률이 0.1%였지만 부산지역은 0.7%로 유독 높은 오름세를 보였다.
휴가철에는 수요가 많은 만큼 숙박료나 교통비, 외식비 등이 오르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이미 물가가 높은 상황에서 피서지 물가가 지나치게 오르면 서민들의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.
이런 가운데 통영시는 얌체 상술로 통영의 이미지와 신뢰를 떨어뜨리는 비양심적인 상술로 3대 시민 의식개혁에 역행하는 행위는 단호하게 근절시켜 나가기로 했다.
남해군도 피서지 바지요금 근절과 물가안정을 위해 군내 주요관광지의 음식점과 숙박업소 등 개인서비스 업소를 대상으로 물가안정 시범업소를 지정해 이들 업소에는 인센티브를, 이용관광객에게는 지역특산품을 무료로 제공키로 했다.
/이호상 기자